TEXT

메모) Expanded Cinema

Day_dreaming 2012. 10. 9. 04:09

At Eye Film Museum


"I will set to work constructing a 'geo-poetics'. Because a geo-poetics can understand the world. A geo-politics can destroy the world." / Édouard Glissant


동일한 크기, 색감을 가진 스크린을 다채널로 동시에 프로젝션 할 경우,


1. 움직이는 사물이 담긴 화면에 시선을 제일 처음 빼앗기고

2. 사람이 등장하는 화면으로 시선이 이동되며

3. 동시적 소리(각기 다른 화면에 고유의 소리가 담겨져있을 때)가 '하나'의 음악처럼 들리며

4. 결국 시간이 점차 흐르자, '멈추어져 있는 화면'으로 시선이 고정되며

5. 7개의 다른 화면이 한 장소에서 벌어지는 사건임을 알게되는 순간, 하나의 스토리로 인식되고

6. 멈추어져 있는 화면의 시간이 지속되는 순간, 그것부터 시간이 '중단'되었다 즉 '과거'로 읽혀지며

나머지 움직이는 것들을 현재로 느껴진다.  실제로 관객의 머릿속 혹은 시간을 쪼개고 분리하는 습관적인 해석에 의해

자연스럽게 '서사적 내부의 시간'이 자생적으로 발생하는 것 처럼 보이게된다.

/ The Fifth Night by Yang Fudong의 작업을 보고나서.


Voice over가 전체극을 이끌어가는 형태를 취할경우,

장소와 그 안에 인물이 가진 특질들을 의도적으로 해체시킨다. 이 때 우리가 보고있는 화면과 어울리지않은 소리를 입혀 시공간을 충돌시키는 장치를 쓴다. 나레이터의 목소리는 화면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동시적으로 설명하거나 혹은 아직 벌어지지않은 상황을 묘사하는 식의 '지시적' 역할을 한다. 명령, 실행과 같은 구조.

Command, Shift and Enter or Cut

/ A Lapse of Memory by Fiona Tan의 작업을 보고나서.


Issac Julien의 'Ten Thousand Waves'는 프로젝션의 환경, 보는 시점들을 정교하게 틀을 만들어놓고

서사와 이미지, 때로는 사운드의 융합과 충돌을 아주 적절한 타이밍의 호흡조절을 통해

적당한 거리감, 쥐락펴락하는 긴장감을 놓치않게 구현했다. 충만하고 아름다웠으며 슬펐다.